다음에 해당하는 세대주인 모(母) 또는 부(父)와 만 18세미만(취학 시 만 22세 미만)의 자녀로 이루어진 가정으로서, 소득인정액 기준을 충족한 자
※ 배우자의 실종선고 절차가 진행중인 자, 관할 시군구청장이 가출 또는 행방불명 사실을 확인한 경우(거주불명등록자, 주민등록 직권말소 등)
구분 | 지원대상 | 지원금액 | 지원시기 |
---|---|---|---|
아동양육비 | 기준중위소득 52% 이하 가족의 만 18세미만 아동 | 자녀 1인당 월 200,000원 ※ 신규책정자의 경우 신청월로 소급지원 |
매월 20일 |
추가아동양육비 | 조손가족 및 만 35세 이상 미혼 한부모가족의 만 5세 이하 아동 |
자녀 1인당 월 50,000원 | 매월 20일 |
만 25세 이상 34세 이하 청년 한부모가족의 만 5세 이하 아동 |
자녀 1인당 월 100,000원 | ||
만 25세 이상 34세 이하 청년 한부모가족의 만 6세~18세 미만 이하 아동 |
자녀 1인당 월 50,000원 | ||
생활보조금 | 기준중위소득 52%이하 한부모가족 복지시설에 입소한 가족 | 월 50,000원 | 매월 20일 |
학 비 | 고등학교 재학중인 자녀 | 입학금 및 수업료 반액지원 (학적조회후 학교별 은행계좌 입금) ※ 나머지 반액은 교육청에서 지원 |
3,6,9,12월 |
교통비 | 중ㆍ고등학교 재학중인 자녀 | 분기별/ 86,400원 지원 | 3,6,9,12월 |
학용품비 | 중ㆍ고등학교 재학중인 자녀 | 연 1회 / 83,000원 지원 ※ 신규책정자의 책정된 달 20일에 지급 |
7월 |
지원구분 | 청소년 한부모 아동양육비 | 청소년 한부모 검정고시학습비 | 청소년 한부모 고교생교육비 | 청소년 한부모 자립촉진수당 |
---|---|---|---|---|
지급시기 | 월별 | 수시지급 (신청시) | 분기별 지급 | 월별 지급 |
지원액 | 자녀1인당 월 35만원 | 연 154만원 이내 | 실비 | 월 10만원 |
지원대상 | 기준중위소득 60%이하 (생계급여수급자제외) | 기준중위소득 60%이하 (교육급여수급자제외) | 기준중위소득 53%~60%이하 (교육급여수급자제외) | 생계급여수급자 의료급여수급자 |
지원계획 | 계좌입금 | 해당 청소년 한부모가 등록한 학원 또는 개인계좌로 입금 | 해당 청소년 한부모가 재학중인 학교로 계좌입금 | 계좌입금 |
영구임대주택, 기존주택 매입임대주택, 영세민 전세임대주택 입주 신청에 “무주택 저소득 한부모가족”은 1순위로 신청 가능
⇒ 동주민센터 및 사회복지과 문의
교통안전공단 자동차 정기 및 종합검사 수수료 50% 감면
기본료 및 통화료의 35% 감면됨.
⇒ 동주민센터 방문하여 “복지전화신청용수급자증명서” 발급 후 통신사에 방문 제출, 1가구당 총 4명까지 가능
지역가입자 해당, 부과소득 및 재산기준에 따라 월 보험료 10~30% 경감
⇒ 국민건강보험공단에 “한부모가족 증명서” 제출
차상위계층(한부모가족 해당)은 42.5원/㎥ 할인혜택(신청일 익월 1일부터 요금경감 적용)
차상위계층(한부모가족 해당)은 월 최대 2,000원 감면
⇒ ☎ 국번없이 123에 문의
고용노동부 사업, 취업상담 및 연계, 교육 등
⇒ 고용노동부 ☎ 1350 문의
여성가족부가 소송비용 전액 지원
⇒ 문의전화 : ☎ 국번없이 132
동주민센터에 신청
사업수행기관 | 주소 | 전화번호 |
---|---|---|
서울시 한부모가족지원센터 | 서울 구로구 가마산로 272 (구로동) | ☎ 02-861-3020 |
나너우리 한가족센터 | 서울 마포구 백범로 1길 4 (노고산동) | ☎ 02-363-4750 |
지원내용 : 미혼모ㆍ부자 정서 지원, 출산 및 양육시 위기지원, 친자검사비 지원, 교육문화체험프로그램, 자조모임 운영지원, 자원연계 및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