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핵역학조사란?
학교, 직장 등 집단 시설에서 전염성 결핵환자가 발생하면 결핵 환자와 접촉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역학조사를 시행합니다
접촉자란?
결핵홤자와 같은 실내 공간에서 장시간 접촉하여 결핵균에 감염될 위험이 높은 사람입니다.
접촉자 검사?(보건소에서 선정한 역학 대상자)
1) 결핵검사
모든 접촉자는 활동성 결핵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흉부 X선 검사를 합니다. 흉부 X선 검사 결과 결핵이 의심되거나 기침, 가래 등 결핵 의심 증상이 있는 경우 가래 검사를 합니다
2)잠복결핵감염검사
잠복결핵감염 여부를 확인하는 검사는 투베르쿨린 피부반응 검사와 인터페론감마 분비검사(혈액검사)가 있습니다. 검사결과 양성이면 결핵균에 감염되었음을 의미합니다.
잠복결핵감염 치료를 받아야 하나요?
접촉자는 일반 인구에 비해 결핵으로 발병할 위험이 5배 높기 때문에 치료를 권고합니다. 잠복결핵감염 치료를 완료하면 결핵발병을 90%까지 예방할 수 있습니다.
접촉자 검사는 반드시 받아야 하나요?
결핵 역학조사는 「감염병예방법」 제18조, 「결핵예방법」 제10조 및 제19조에 따라 시행하고 있습니다. 결핵환자와 같은 실내공간에서 생활한 사람은 결핵균에 노출되어 감염될 위험이 높아 반드시 검사에 참여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