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전체메뉴 닫기

건강정보


신증후군출혈열

> 건강정보 > 감염병FAQ > 가을철 유행감염병 > 신증후군출혈열

  • Q. 신증후군출혈열(Hemorrhagic fever with renal syndrome)(유행성 출혈열)이란 무엇인가요?

    A. 이 질환은 급성으로 발열, 요통과 출혈, 일시적인 신장 및 간장의 기능장애를 동반하는 급성전염성 출혈성 질환군을 말하며, 한국형 출혈열, 극동출혈열, 유행성 출혈열, 유행성 신증 등으로 알려져 있다. 늦가을(10~11월)과 늦봄(5~6월) 건조기에 질병이 많이 발생하고, 군인, 캠핑이나 등산, 낚시 등 야외활동이 많아 바이러스에 노출될 기회가 많은 젊은 연령층 남자에게서 잘 발병(남성 대 여성환자 비율은 약 2:1)하며 최근에는 소아에서도 감염이 발생하고 있다.
    1982년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한국형 출혈열과 임상적으로 유사한 질병들의 원인이 한탄 바이러스(Hantan virus) 혹은 이와 유사한 바이러스에 의해 발병된다는 사실이 입증되었기 때문에 소련의 출혈성 신우신염, 스칸디나비아 제국의 유행성 신염, 일본의 유행성 출혈열, 중국의 송고열 등 비슷한 질병의 명칭을 신증후군출혈열로 불리운다.

  • Q. 신증후군출혈열에 걸리면 어떤 증상이 나타나나요?

    A. 잠복기는 평균 2∼3주 정도이며, 급성으로 발열 피가 나는 경우가 있고 신장의 기능이 떨어지는 것이 특징적으로 발열, 오한, 두통 등의 전신증상이 있으며 5단계를 거친다.

    • 발열기(3∼5일) : 갑자기 시작되는 발열, 권태감, 식욕 부진, 심한 두통 등의 증상이 나타나고 복통, 요통, 얼굴과 몸통의 발적(피부나 점막에 염증이 생겼을 때에 그 부분이 빨갛게 부어오르는 현상), 결막 충혈, 출혈반(보통 동전만한 크기의 멍) 등이 차차 발생한다.
    • 저혈압기(수시간∼3일) : 신체 전반에 걸친 발열기의 증상들이 계속되고 해열과 동시에 혈압이 떨어지고 심하면 착란, 섬망, 혼수 등 쇼크 증상을 보인다. 심한 단백뇨, 빈뇨가 나타나고 혈소판 감소, 백혈구 증가, 혈뇨, 토혈, 적혈구용적율(hematocrit) 상승 등의 출혈 경향이 나타난다.
    • 핍뇨기(3∼5일) : 혈압이 정상이나 정상 이하로 떨어지며 오심, 구토, 핍뇨, 질소혈증, 전해질 이상(칼륨이온 증가), 때로는 뇌부종, 폐부종도 볼 수 있으며 반상 출혈, 자반(멍), 위장관 출혈이 뚜렷해지고 소변이 나오지 않는다.
    • 이뇨기(7∼14일) : 신기능이 회복되는 시기로 다뇨(3∼6L/일)가 동반되며 심한 탈수, 쇼크, 폐합병증으로 사망할 수 있다.
    • 회복기(1∼2개월) : 가끔 다뇨가 지속되거나 야뇨, 빈혈 증상이 있다.
  • Q. 신증후군출혈열은 어떻게 감염되나요?

    A. 들쥐나 집쥐의 배설물에 있는 바이러스가 먼지, 흙 등에 침투해 있다가 사람의 호흡기를 통해서 전파된다. 바이러스에 감염된 쥐는 타액(침)과 대변을 통해서 약 1개월간, 소변을 통해서는 1년 이상 바이러스를 배출하며, 현재까지 감염 환자로부터 다른 사람으로 바이러스가 전파되어 환자가 발생하였다는 보고는 없다.

  • Q. 신증후군출혈열은 어떻게 치료하나요?

    A. 치료를 위한 특이 요법은 없고 임상경과시기별로 적절한 대증요법을 실시한다. 치료에 앞서 출혈이나 쇼크의 발생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절대 안정이 필요하다. 사람간의 전파는 없으므로 격리시킬 필요는 없다.

  • Q. 예방접종은 어떻게 받아야 하나요?

    A. 고위험지역 거주자 및 고위험군에게 우선 접종하도록 권장한다.

    • 발생률이 높은 지역에 거주 혹은 근무하며, 군인 및 농부 등 직업적으로 신증후군출혈열 바이러스에 노출될 위험이 높은 집단
    • 신증후군출혈열 바이러스를 다루거나 쥐 실험을 하는 실험실 요원
    • 야외활동이 빈번한 사람 등 개별적 노출 위험이 크다고 판단되는 자
    • 예방접종명 : 신증후군 출혈열 백신
    • 1개월 간격으로 2회 접종하고 12개월 뒤에 1회 접종
  • Q. 신증후군출혈열의 백신의 효과는 얼마나 가나요?

    A. 한타박스 백신의 경우 통상 항체지속기간은 1년 이상 유지되며, 추가 접종을 실시하여야 한다.

  • Q. 신증후군출혈열을 예방하기 위해서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 유행 지역의 산이나 풀밭에 가는 것을 피하고 특히, 늦가을(10∼11월)과 늦봄(5∼6월)의 건조기에 밤 줍기, 성묘, 등산, 캠프 등 야외할동시 풀밭 위에 옷을 벗어 놓거나 눕거나 잠을 자지 않는다.
    • 휴식이나 새참 먹을 때 돗자리를 펴서 앉고 사용한 돗자리는 세척하여 햇볕에 말려서 사용한다.
    • 들쥐의 배설물에 접촉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 작업 및 야외활동 후 샤워나 목욕을 하고, 작업복은 세탁한다.
    • 가능한 한 피부의 노출을 적게 하며, 작업시 기피제 처리한 작업복과 토시를 착용하고, 소매와 바지 끝을 단단히 여미고 장화를 착용한다.
    • 작업 중 풀숲에 앉아서 용변을 보지 않는다.
    • 신증후군출혈열이 의심될 경우 조기에 치료를 받는다.
    • 감염 위험성이 높은 사람(군인, 농부 등)은 적기에 예방접종을 받는다.
  • Q. 신증후군출혈열은 한번 앓고나서 다시 걸릴 수 있나요?

    A. 그렇지 않다. 감염 후에는 항체가 생기고 이 항체는 수십년 후까지 유지되므로 재감염되지는 않는다.

  • Q. 추석 성묘 또는 야외활동 후 심한 감기증상이 있으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신증후성 출혈열의 발열, 두통, 기침 등의 초기 증상은 가을철 유행하는 감기와 비슷한 모양을 보이므로 1~2주 이후 열이 나고 춥고 떨리며, 두통 등의 감기증상이 나타나면 의료기관을 찾아서 진찰을 받아보는 것이 필요하다.

  • Q. 신증후군출혈열에 걸리면 죽을 수도 있나요?

    A. 그렇다. 중증환자는 감염자의 약 3/1이라고 하며, 치사율은 1950∼1960년대에는 7∼15%였으나 현재는 5%미만으로 감소되었지만 심한 경우에 사망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