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내용 |
최근 아프리카 콩고민주공화국에서 에볼라바이러스병 환자가 다시 발생하여 발생 상황 및 예방법을 안내하오니 참고해 주세요~
◇ 해외 에볼라바이러스병 발생 현황
발생시기 |
발생상황 |
바이러스 유형 |
2018.5월 |
에콰퇴르(Equateur)주 3개 Health Zone(Bikoro, Ibokko, Wangata)에서 환자 54명(확진 38, 추정 16, 사망 33) 발생, 7.24 종결 선언 |
자이레(Zaire) |
2017.5월 |
바우엘레(Bas-Uele)주 Likati Health Zone에서 환자 8명(확진 5, 사망 4, 치명률 50%) 발생 |
자이레(Zaire) |
2014.8월 |
에콰퇴르(Equateur)주 Watsi Kengo, Lokolia, Boende, Boende Muke 지역에서 처음 시작하여 환자 66명(확진 38, 사망 49) 발생, ’14.11.20 종결 선언 |
자이레(Zaire) |
2012 |
Orientale 지역 중심으로 36명 발생, 13명 사망 |
분디부교(Bundibugyo) |
2008-2009 |
Kasai-Occidental 지역 32명 발생, 15명 사망 |
자이레(Zaire) |
2007 |
Kasai-Occidental 지역 264명 발생, 187명 사망 |
자이레(Zaire) |
2001-2002 |
가봉 국경 57명 발생, 43명 사망 |
자이레(Zaire) |
1977 |
1건 발생 |
자이레(Zaire) |
1976 |
Yambuku 지역 318명 발생, 280명 사망 |
자이레(Zaire) |
◇ 질병관리본부 보도자료
○ (발생현황)’18.8.1(수)DR콩고 북동부 북키부(North Kivu)주 망기나(Mangina) 보건지역에서 에볼라바이러스병 환자 발생 보고(WHO/DR콩고 보건부 발표)
- ’18.5.11일부터 7.27일까지 원인불명의 출혈열 의심환자 26명 발생, 20명 사망
- 의심환자 6명 중 4명의 검체에서 에볼라바이러스가 검출, 추가 검사 진행 중
- 이번 유행은 콩고민주공화국에서 발생한 10번째 유행
- 지난 7.24일, 서북부 에콰퇴르(Equateur)주 유행발생* 종식 선언 이후 8일 만에 신규 발생 보고
* ’18.4.4일부터 7.24일까지 3개 지역(Bikoro, Iboko, Wangata)에서 54명 발생, 33명 사망
* 이번 북키부(North Kivu)주 유행발생과의 연관성은 아직 확인된 바 없음
○ (현지상황)이번 유행발생이 인근 국가, 지역으로 확산될 가능성에 대비필요
- 이번 유행지역(Mangina 보건구역)은 Beni 도심지에서 약 30km 거리에 위치
- 북키부(North Kivu)주는 분쟁지역으로 열악한 치안 상황, 1백만명 이상의 난민 수용 상태, 르완다 및 우간다와 접경하여 무역이 활발한 상황
○ (조치사항)세계보건기구(WHO)와 DR콩고 정부는 최근 대응 경험을 바탕으로 관련 국가,
기관과 협력하여 현지 대응팀을 파견하여 대응 중 |
◇ 에볼라바이러스병 개요
구분 |
내 용 |
방역이력
및
발생현황 |
▫법정감염병(제4군), 진단코드 ICD-10 A98.4
▫국내현황 : 보고 없음
▫세계현황
- 1976년부터 2012년까지 아프리카 지역에서 간헐, 산발적 유행으로 가봉,
콩고공화국, 코트디부아르, 수단, 우간다 등에서 발생한 바 있음
- 2014년 서아프리카 지역(기니, 라이베리아, 시에라리온 등)에서 대규모 유행 |
병원체 |
▫에볼라바이러스(Ebola virus) |
감염경로 |
▫바이러스의 자연 숙주는 과일박쥐로 추정
▫환자의 혈액 또는 체액(타액, 소변, 구토물, 대변 등) 등이 피부상처 또는 점막을 통해 직접 접촉으로 감염되거나 환자의 성 접촉으로 정액을 통해서도 감염 |
잠복기 |
▫평균 8-10일(2-21일) |
주요증상
및
임상경과 |
▫고열, 전신 쇠약감, 근육통, 두통, 인후통 등 비전형적인 증상 이후에 오심, 구토, 설사, 발진이 동반되고 따로 체내외 출혈 경향
▫사망률 : 25-90% (바이러스 유형이나 각국의 보건의료체계 수준에 따라 다를 수 있음) |
진단 |
▫바이러스 분리
▫항원 또는 유전자 검출
▫특이 IgM 항체 검출
▫회복기 혈청의 항체가가 급성기에 비하여 4배 이상 증가 |
치료 |
▫대증요법 |
환자 및
접촉자 관리 |
▫환자 관리: 국가지정입원치료병원에서 시행하는 것이 원칙
▫접촉자 관리: 21일간 증상발현 유무 감시, 접촉자 중 유증상자는 즉시 격리 |
예방 |
▫현재 예방할 수 있는 백신은 개발 중
▫유행 지역 방문 시 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도록 주의
▫환자 발생 시 환자의 체액과 가검물에 접촉 주의
▫손씻기 등 개인 위생 |
◇ 에볼라바이러스병 예방법
1. 일반적인 감염병 예방수칙 준수
- 개인위생 (손 씻기 등) 수칙 준수
- 오염된 손으로 눈, 코 입 등 점막 부위 접촉 삼가
- 보건인력 환자 관리 시 상황(치료, 간호, 이송, 사체처리 등)에 적절한 개인보호구 착용 및
관리조치 적절 수행
2. 에볼라바이러스병 유행지역 여행 시 주의사항
- 여행 전, 에볼라바이러스병 유행지역 확인
- 접촉금지 및 이들의 야생고기를 다루거나 먹지 않기
에볼라바이러스병 (의심)환자와의 접촉 금지
․ 에볼라바이러스병 의심 증상을 가진 사람과의 접촉금지
․ 에볼라바이러스병 의심 증상을 가진 사람의 물건 등과의 접촉 금지
․ 에볼라바이러스병 발생 및 유행지역 동물이나 사람의 사체와 접촉금지
․ 에볼라바이러스병 (의심)증상으로 사망한 사람의 장례식장 방문 주의
3. 에볼라바이러스병 유행지역 여행 후 주의사항
- 귀국 후 21일 간 발열 및 기타 관련 증상이 있을 시,
질병관리본부콜센터☏ 1339 문의
|